청년층이 자산형성을 할 수 있도록 5년 동안 자유롭게 저축하면 최대 6%의 정부기여금을 지급받고 이자에 대해 비과세 혜택까지 주는 청년도약계좌를 소개해 드립니다.
[글의 순서]
[함께 보면 좋은 정보]
- 1인당 최대 500만원 지급하는 상병수당 신청방법
- 알뜰교통카드 신청방법 상세설명 가이드
- 햇살론 유스 대출 신청방법 상세설명 가이드
- 청년월세 신청방법 상세설명 가이드
- 햇살론카드 신청방법 상세설명 가이드
-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신청방법 상세설명 가이드
- 부모급여 신청방법 상세설명 가이드
- 한부모가족 자녀양육 지원금 신청방법 상세설명 가이드
- 취업의 모든것 국민취업지원제도 상세설명 가이드
- 긴급생계지원 자금 신청방법 상세설명 가이드
- 특례보금자리론 신청방법과 상세설명 가이드
- 청년수당 신청방법과 신청대상 상세설명 가이드
- 고금리 대출 대안 햇살론 15 상세설명 가이드
- 근로장려금 신청방법과 지급시기
1.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청년도약계좌의 가입대상은 아래의 4개 항목을 모두 충족하는 청년 입니다.
- 만19세 ~ 만34세 청년 (병역기간 최대 6년 추가 인정)
- 연 소득 금액 7,500만원 이하인 자
-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인 자
- 가입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제외
가입요건중 기준중위소득은 아래의 버튼을 통해 빠르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2. 청년도약계좌 세부 내용
- 월 납입액 :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한 자유적립식 (연 840만원 한도)
- 납입기간 : 만기 5년
- 금리구조 : 가입후 3년 고정금리 적용, 이 후 2년 변동금리 적용
- 이자지급방식 : 만기일시지급(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적용 / 저소득층 청년대상 우대금이 적용)
- 최종 만기 수령액 = 본인 납입금 + 정부 기여금 + 이자(비과세)
<청년도약계좌 지급구조>
개인 소득 금액 | 가입자(본인) 납입한도 | 기여금 지급한도 | 기여금 매칭비율 | 기여금 한도 |
---|---|---|---|---|
2,400만원 이하 | 월 70만원 | 월 40만원 | 6.0% | 월 2.4만원 |
3,600만원 이하 | 월 70만원 | 월 50만원 | 4.6% | 월 2.3만원 |
4,800만원 이하 | 월 70만원 | 월 60만원 | 3.7% | 월 2.2만원 |
6,000만원 이하 | 월 70만원 | 월 70만원 | 3.0% | 월 2.1만원 |
7,500만원 이하 | 월 70만원 | – | – | – |
3.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 내용
중도해지의 경우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해당한다면 정부 기여금과 이자 비과세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특별중도해지사유>
- 가입자의 사망
- 가입자의 퇴직
- 가입자의 사업장 폐업
- 천재지변
- 질병
- 생애최초 주택구입시
4.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2023년 6월 15일 부터 비대면 신청 예정이며 가입심사와 소득심사 후 유지심사의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가입심사 : 취급기관의 앱을 통해서 신청할 수 있으며, 개인소득과 가구소득을 심사
소득심사 : 2022년도의 소득이 확정되기 전까지는 2021년 과세기간 소득 기준으로 심사
유지심사 : 가입후 1년 주기로 소득심사(개인소득만 심사)를 하여 기여금 지급여부와 기여금 규모를 책정 예정
지금까지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물가상승대비 우리의 월급은 전혀 오르지 않는 각박한 현실에서 받을수 있는 혜택은 모두 받아 우리모두 조금이라도 더 나은 생활을 할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