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 시대에 교통비까지 올라서 한푼이 아쉬운 요즘 교통비를 최대 30% 아껴주는 알뜰교통카드를 알고 계신가요?
시내버스, 전철, 광역급행철도 등의 대중교통 요금을 최대 30%할인해 주고 환승혜택 및 편리한 사용기록조회 등의 편리함까지 제공해 주는 알뜰교통카드 신청방법과 사용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글의 순서]
[함께 참고하면 좋은 글 추천]
- 햇살론 유스 대출 신청방법 상세설명 가이드
- 청년월세 신청방법 상세설명 가이드
- 햇살론카드 신청방법 상세설명 가이드
-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신청방법 상세설명 가이드
- 부모급여 신청방법 상세설명 가이드
- 한부모가족 자녀양육 지원금 신청방법 상세설명 가이드
- 취업의 모든것 국민취업지원제도 상세설명 가이드
- 긴급생계지원 자금 신청방법 상세설명 가이드
- 특례보금자리론 신청방법과 상세설명 가이드
- 청년수당 신청방법과 신청대상 상세설명 가이드
- 고금리 대출 대안 햇살론 15 상세설명 가이드
- 근로장려금 신청방법과 지급시기
-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과 가입방법
1. 알뜰교통카드란?
교통비 절감 및 환경보호의 일환으로 버스 및 지하철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걸어가거나 또는 저전거를 이용하여 이동한 거리만큼 교통비 절감 또는 마일리지를 최대 30%까지 적립해 주는 교통카드 이며 2023년 7월부터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로 더욱 혜택이 확대되었습니다.
2. 알뜰교통카드 지원대상
알뜰교통카드는 일반, 저소득층 그리고 청년층으로 지원대상이 나누어 지며, 아래의 표를 참고해 주세요.
구분 | 내용 |
---|---|
일반 마일리지 | 일반 국민 |
저소득층 마일리지 | 만19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청년층 마일리지 | 만19세 ~ 만34세의 국민 |
3. 알뜰교통카드 지원내용
알뜰교통카드는 사용한 교통요금과 지원대상에 따라 적립되는 마일리지가 다릅니다.
교통요금 | 일반 | 저소득층 | 청년층 |
---|---|---|---|
2천원 미만 | 최대 250원 적립 | 최대 500원 적립 | 최대 350원 적립 |
2천원 이상 ~ 3천원 미만 | 최대 350원 적립 | 최대 700원 적립 | 최대 500원 적립 |
3천원 이상 | 최대 450원 적립 | 최대 900원 적립 | 최대 600원 적립 |
- 한달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시 마일리지 지급 됩니다.
- 대중교통 이용확인과 주민등록상의 주소지가 확인되어야 마일리지 지급 됩니다.
- 미세먼지 저검조치 발령시에는 두배 마일리지 지급 됩니다.
- 회당 마일리지 적립은 도보 및 자전거로 최대 800m를 이동시 월상한 44회이며, 800m 미만은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지급 됩니다.
4. 사용가능한 알뜰교통카드 종류
알뜰교통카드로 사용 가능한 카드는 후불교통카드 기능이 들어간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와 티머니 모바일 카드가 사용이 가능합니다.
<신용·체크 카드(후불교통카드)>
- 신한카드
- 우리카드
- 하나카드
<모바일 카드(선불교통카드)>
- 티머니 제로페이 X 알뜰교통카드
알뜰교통카드는 아래의 버튼을 통해 빠르게 신청이 가능합니다.
5. 알뜰교통카드 신청방법
알뜰교통카드는 실물카드와 모바일카드 발급방법이 다릅니다. 신청방법을 각각 알아보겠습니다.
5-1. 실물 알뜰교통카드 신청방법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원하는 카드사와 카드를 선택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그림의 카드종류는 일부분이며, 사이트에 방문하시면 더 많은 종류의 카드 신청이 가능합니다.
5-2. 모바일 알뜰교통카드 신청방법
①모바일 캐시비앱 또는 원패스앱을 다운받아 회원가입 후 발급(이때, 선불형으로 가입해야 알뜰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합니다.)
②알뜰교통카드 앱을 다운받고 회원가입 후 발급
6.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방법
①대중교통을 타러가기 전 알뜰교통카드 앱을 실행하여 “출발하기” 버튼을 누르면 마일리지 적립이 시작됩니다.
②대중교통을 타러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합니다.
③실물 알뜰교통카드 또는 모바일 알뜰교통카드로 요금을 지불합니다.
④목적지에 도착했으면 “도착” 버튼을 누리면 마일리지 적립이 완료됩니다.